[ 이전 포스트 ]
https://jeong-on.tistory.com/109
[ 포스트 목적 ]
이번 포스트 또한 지난번 포스트의 연장선으로 이어가볼까 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Object Storage 통신 방식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Object Storage 호출 도메인 ]
사실 네이버 클라우드 Object Storage 호출 도메인은 리전 당 1개는 아닙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kr.object.ncloudstorage.com" Public 도메인과 "kr.object.private.ncloudstorage.com" Private 도메인 이렇게 2가지 도메인이 있습니다.
[ public / private도메인 차이점 ]
우리가 알고있는 Server랑 똑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Public 공간에 있는 서버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고, Private 공간에 있는 서버는 외부와 통신이 안되는 것과 같이 Private 도메인은 네이버 클라우드 내부에서 호출할때 쓸 수 있는 도메인입니다.
[ 네이버클라우드 서버 / 내 PC 테스트 ]
아래 왼쪽 이미지는 네이버클라우드에 구축한 윈도우 서버와 개인 PC에서 S3 Browser를 실행해 REST Endpoint를 "kr.object.private.ncloudstorage.com"로 입력해 연결을 시도해보았습니다.
[ S3 Browser 연결 결과 ]
각 PC 별 S3 Browser에 private 도메인으로 연결한 결과입니다.
왼쪽 이미지와 같이 네이버 클라우드에 구축한 윈도우 서버는 정상적으로 연결이 됐지만, 개인PC에서 연결을 시도했을 땐때는 S3 Browser - Accounts 에 "New Account"가 추가 됐지만 버킷 리스트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Public 호출 도메인의 경우 외부통신이 가능한 서버나 PC에서 Object Storage를 연결하는 Endpoint로 이용할 수 있고,
Private 호출 도메인의 경우 네이버클라우드에 구축한 서버에서 Object Storage를 연결하거나, 서버 내에서 Object Storage 호출이 필요할 때 외부망으로 거치지 않고 바로 Object Storage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Naver Cloud Platform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클라우드 Object Storage - S3 Browser 연동하기 (0) | 2024.08.30 |
---|---|
네이버 클라우드 Object Storage 리전 별 호출 도메인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