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 스티키 세션(Sticky Session) 이란?
·
Naver Cloud Platform/Networking
[이전 포스트]https://jeong-on.tistory.com/111 [목적]이전 포스트에서 로드밸런서의 부하분산 방식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엔 로드밸런서 설정에 있는 Sticky Session에 대해 알아려고 합니다.네이버 클라우드에선 2가지 Sticky Session 기능을 제공하는데, 가이드나 설정창엔 2가지 기능에 대한 차이점이 나와있지 않아 이번 포스트를 통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스티키 세션(Sticky Session)이란]헤더에 서버 고유의 아이디를 추가해 다음 요청이 발생하더라도 같은 서버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뜻합니다.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2가지 Sticky Session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로드밸런서 타겟그룹 Sticky Session]첫번째 Sticky S..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3가지 부하분산 방식
·
Naver Cloud Platform/Networking
[목적]로드밸런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수신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서비스입니다.로드밸런서 기능으론 부하 분산 처리, Proxy 통신, SSL 인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에서 지원하는 부하분산 방식에 대해 알아려보려고 합니다.[로드밸런서 부하분산 방식]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는 3가지의 부하분산 방식을 제공합니다.Round Robin(순환 순서)서버 커넥션 수, 응답 상황 등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장점 : 매우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모든 서버에 요청을 고르게 분배하기 때문에 특정 서버에만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버를 추가할 때도 특별한 설정 없이 기존 방식대로 쉽게 통합할 수 있다는 장..
정온 (jeong on)
'Naver Cloud Platform/Network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