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적]
로드밸런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수신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서비스입니다.
로드밸런서 기능으론 부하 분산 처리, Proxy 통신, SSL 인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에서 지원하는 부하분산 방식에 대해 알아려보려고 합니다.

[로드밸런서 부하분산 방식]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는 3가지의 부하분산 방식을 제공합니다.
- Round Robin(순환 순서)
서버 커넥션 수, 응답 상황 등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장점 :
매우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모든 서버에 요청을 고르게 분배하기 때문에 특정 서버에만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버를 추가할 때도 특별한 설정 없이 기존 방식대로 쉽게 통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단점 :
쇼핑몰 장바구니 기능과 같이 같은 서버에 특정 사용자 세션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Round Robin 방식으로 설정할 경우 세션이 다른 서버로 분산되어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장점 :
- Least Connection(최소 연결)
가장 적은 수의 연결이 이루어진 서버로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장점 :
각 서버에 할당된 현재 연결 수를 기반으로 요청을 분배하기 때문에 요청 처리 시간이 길거나 서버 간 부하가 불균형하게 분포될 경우 Least Connection 방식으로 설정할 경우 트래픽이 고르게 분배될 수 있습니다. - 단점 :
각 서버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로드밸런서의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고, Round Robin 방식과 마찬가지로 세션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서버로 연결 유지가 필요한 경우 세션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장점 :
- Source IP Hash(IP 해시)클라이언트의 Source IP 정보를 해시한 결과에 따라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 장점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해시하여 서버를 결정해 동일한 클라이언트는 항상 동일한 서버로 연결되기 때문에 같은 서버에 특정 사용자 세션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설정하면 좋습니다. - 단점 :
클라이언트 IP 주소 분포에 따라 특정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될 수 있어 부하 분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장점 :
728x90
반응형
'Naver Cloud Platform >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 스티키 세션(Sticky Session) 이란? (0) | 2024.09.05 |
---|
728x90
반응형
[목적]
로드밸런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수신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서비스입니다.
로드밸런서 기능으론 부하 분산 처리, Proxy 통신, SSL 인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에서 지원하는 부하분산 방식에 대해 알아려보려고 합니다.

[로드밸런서 부하분산 방식]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는 3가지의 부하분산 방식을 제공합니다.
- Round Robin(순환 순서)
서버 커넥션 수, 응답 상황 등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순차적으로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장점 :
매우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모든 서버에 요청을 고르게 분배하기 때문에 특정 서버에만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버를 추가할 때도 특별한 설정 없이 기존 방식대로 쉽게 통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단점 :
쇼핑몰 장바구니 기능과 같이 같은 서버에 특정 사용자 세션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Round Robin 방식으로 설정할 경우 세션이 다른 서버로 분산되어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장점 :
- Least Connection(최소 연결)
가장 적은 수의 연결이 이루어진 서버로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장점 :
각 서버에 할당된 현재 연결 수를 기반으로 요청을 분배하기 때문에 요청 처리 시간이 길거나 서버 간 부하가 불균형하게 분포될 경우 Least Connection 방식으로 설정할 경우 트래픽이 고르게 분배될 수 있습니다. - 단점 :
각 서버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로드밸런서의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고, Round Robin 방식과 마찬가지로 세션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서버로 연결 유지가 필요한 경우 세션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장점 :
- Source IP Hash(IP 해시)클라이언트의 Source IP 정보를 해시한 결과에 따라 요청을 할당하는 방식
- 장점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해시하여 서버를 결정해 동일한 클라이언트는 항상 동일한 서버로 연결되기 때문에 같은 서버에 특정 사용자 세션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설정하면 좋습니다. - 단점 :
클라이언트 IP 주소 분포에 따라 특정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될 수 있어 부하 분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장점 :
728x90
반응형
'Naver Cloud Platform >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클라우드 로드밸런서 스티키 세션(Sticky Session) 이란? (0) | 2024.09.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