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Internet 계층이란?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프로토콜로 전달 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받아서 인접한 네트워크가 요구하는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 전송한다.
그리고 경로를 제공하지만 흐름 제어나 헤러 제어에 대한 기능은 없다.
version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Header Length : IP헤더의 길이
Type of service : 8bits로 구성되어 있다. [ 3bits : 우선순위결정 5bits : 서비스유형 표시 ]
Total Length : 패킷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 헤더+데이터 크기 )
Identification : 식별자번호
Flags : 프래그먼트 패킷의 상태나 생성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
Fragment offset : 데이터를 쪼갤 때 필요한 오프셋
Time to Live : 데이터가 살아있는 시간을 설정
Protocol type : 상위계층 프로토콜 [ 1 : ICMP 2 : IGMP 6 : TCP 17 : UDP ]
Header Cheaksum : 헤더가 변경될 때 마다 체크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공통설명
Source IP address : 각각 32비트로 이루어짐. IP의 시작 발신주소와 도착주소를 기록
Destination IP address : 주소 개수 2^32 약 43억개의 주소
option : 테스트할 때 사용
ICMP의 특징
오로지 요청만 받아오는 역할을 하는데
목적지 정보도 알 수 없는 빈 깡통같은 신호라 목적지를 알고있는 IP와 같이 다녀야 한다.
대신 신호를 받아오기때문에 신뢰성을 보장한다.
오류보고 메세지 : 패킷 전달 오류 보고
정보성 메세지 : 네트워크 상태 조사를 위한 질의 요청 및 응답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어떤 데이터링크에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패킷에 담아 운반 가능한 최대 크기
보통 1500으로 고정되어있다
정온 Tistory
이 티스토리는 학생이 제작하고 있습니다
수정사항이 있다면 댓글이나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CCCR ACADEMY 4기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계산법 (0) | 2021.05.25 |
---|---|
IP / IP 주소 (0) | 2021.05.24 |
OSI 7계층 | TCP/IP 4계층 (0) | 2021.05.20 |
네트워크의 기초 (0) | 2021.05.19 |